통찰은 어디서 올까?

통찰은 어디서 올까?

너드보드는 '데자일 클럽'이라는 디스코드를 운영하고 있어.
데이터 + 애자일의 조합, 데자일.
왜냐면 결국 협업이 잘 되려면,
**팩트(데이터)**랑 **태도(애자일)**가 제대로 맞물려야 하거든.


애자일이라는 말을 들으면 보통
"빠르게 개발하고 피드백 자주 받는 방식이지?"
이렇게 말하잖아?
근데 그게 전부가 아니야.
애자일은 방식이 아니라, 살아가는 자세야.

이 얘기를 하기 전에
내가 좋아하는 개념 하나부터 꺼내볼게.
돈오점수라는 말이 있어.
'단박에 깨우치고, 그 다음에 조금씩 닦아간다'는 뜻이야.

지눌 스님이 이런 비유를 했대.
“봄이 와도 겨울 눈은 단박에 안 녹아.”
“아기가 태어나도, 사람 구실하려면 한참은 커야 해.”

그 말 듣고 딱 감이 왔어.
통찰은 한순간에 오지만,
진짜 내 것이 되려면 꾸준한 수련이 필요하다는 것.


작년에 나 진짜 4번 크게 말아먹었어.
그때마다 회고하면서
“내가 왜 실패했지?” 그림 그려가며 정리했거든.

근데 신기하게도, 실패 직후에 시도가 엄청 많아졌어.
마치 뇌가 깨어나는 것처럼.
그래서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테스트 수백 개 하던 거나
아르키메데스가 유레카 외친 것도 이해되더라.

와인버그는 말했어.
“성장은 협곡과 고원을 반복하는 여정이다.”
잘 나갈 땐 고원 위에 있는 거고,
막막할 땐 협곡을 지나고 있는 거야.
근데 그 협곡이 진짜 다음 단계로 가는 문일 수도 있거든.


출저: https://stevenmsmith.com/ar-satir-change-model/

나 요즘 이런 생각 많이 해.
“나는 지금 협곡을 즐기고 있는가?”
그리고 고통이 그냥 고통이 아니라,
다음 고원을 위한 신호일 수도 있다고.
근데 또 어떤 협곡은 그냥 협곡일 뿐이야.
고원으로 안 이어질 수도 있다는 것도 인정해야 돼.


얼마 전에 이런 일이 있었어.
매출 0원짜리 회사 대표가 나 찾아왔어.
“어떻게 해야 하냐”며 내 집 앞까지 온 거야.
같이 산책하면서 “진짜 힘들겠다” 공감해주고,
와이프랑 인터뷰하고, 제품 받고,
가설 만들고, 콘텐츠 만들어서 계속 실험했어.

결과?
CTR 8~10%, ROAS 300% 나왔어.
완전 통찰의 순간이었지.
근데 그게 하루아침에 된 게 아니야.
그 사람과 협곡을 같이 걷고,
수련하면서 점점 올라온 결과였거든.


와인버그가 이런 말 했어.
“위기는 갑자기 오는 게 아니라,
위기를 인식하는 순간이 갑자기 올 뿐이다.”

그러니까 지금 힘든 사람 있으면,
“망했다” 하지 말고,
“아, 지금 내 협곡이 시작됐구나” 하고 받아들여 봐.
그리고 생각해봐.

“실패가 없다면,
나는 지금 뭘 시도해보고 싶을까?”

그게 데자일 클럽에서 우리가 추구하는 태도야.
데이터 기반으로 돌아보고,
애자일하게 다시 시도하는 거.
그게 쌓이면, 고원은 따라오게 되어있어.

Read more

NerdLab이 일하는 방식

NerdLab이 일하는 방식

너드랩 이야기 우리가 너드랩이라는 이름을 지었을 때, 사람들이 묻더라고. 왜 ‘너드’냐고. 근데 말이야, 비행기를 처음 띄운 것도 전문가가 아니라 자전거 고치던 형제들이었잖아. 라이트 형제. 그 사람들처럼 우리도 “이거 될 것 같아. 안 되면? 다시 해보지 뭐.” 그 마음으로 시작한 거야. 실패? 당연히 하지. 근데 우린 실패를 좀 좋아해. 실패하다

By shane
사장님이 직접 만든 컨텐츠가 팔리지 않는 이유

사장님이 직접 만든 컨텐츠가 팔리지 않는 이유

요즘 메타 광고 성과가 예전 같지 않다고들 해. 그럴 수밖에 없지. 다들 같은 방식으로만 돌리니까.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콘텐츠"야. 그중에서도, 고객의 마음을 건드리는 한 장의 이미지. 나는 이런 경험 많아. 1년 넘게 매출을 책임지는 이미지 하나. 한 번 성과가 난 이미지는 그냥 이미지가 아니라 쇼핑몰의 비공식

By shane
CRM에 필요한 동기면담의 본질

CRM에 필요한 동기면담의 본질

요즘 계속 생각나는 말이 있어. “낯선 사람의 고통에 기꺼이 함께 하려는 사람은 진정 대단한 사람이다.” 헨리 나우웬의 회고록에 나온 말인데, 스티븐 롤릭의 동기 강화 면담 4판도 이 말로 시작하더라. 참 좋지 않아? 뭔가 딱 와닿았어. 사실 나도 예전에는 “도와주고 싶다”는 마음이 진짜 별로 없었던 사람 같아. 그냥… 문제 해결이

By shane
100억 이상 쇼핑몰(이커머스) 메타 ASC 단계별 전략에 대한 질의 응답

100억 이상 쇼핑몰(이커머스) 메타 ASC 단계별 전략에 대한 질의 응답

A+SC 캠페인, 처음엔 솔직히 좀 무섭더라. “이게 잘 돌아갈까?”, “기존 방식이랑 뭐가 다른 거지?”, “진짜 머신러닝이 뭔가 해줄까?” 내 머릿속은 물음표 투성이였어. 근데 주변에서 그러더라, "야 그거 메타에서 100억 넘는 계정들한테 따로 추천하는 전략이래." 그 말 듣고 나도 본격적으로 파기 시작했지. [1] 기존 방식 vs ASC? 처음엔

By sha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