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rdLab이 일하는 방식
너드랩 이야기 우리가 너드랩이라는 이름을 지었을 때, 사람들이 묻더라고. 왜 ‘너드’냐고. 근데 말이야, 비행기를 처음 띄운 것도 전문가가 아니라 자전거 고치던 형제들이었잖아. 라이트 형제. 그 사람들처럼 우리도 “이거 될 것 같아. 안 되면? 다시 해보지 뭐.” 그 마음으로 시작한 거야. 실패? 당연히 하지. 근데 우린 실패를 좀 좋아해. 실패하다
│
너드랩 이야기 우리가 너드랩이라는 이름을 지었을 때, 사람들이 묻더라고. 왜 ‘너드’냐고. 근데 말이야, 비행기를 처음 띄운 것도 전문가가 아니라 자전거 고치던 형제들이었잖아. 라이트 형제. 그 사람들처럼 우리도 “이거 될 것 같아. 안 되면? 다시 해보지 뭐.” 그 마음으로 시작한 거야. 실패? 당연히 하지. 근데 우린 실패를 좀 좋아해. 실패하다
요즘 메타 광고 성과가 예전 같지 않다고들 해. 그럴 수밖에 없지. 다들 같은 방식으로만 돌리니까.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콘텐츠"야. 그중에서도, 고객의 마음을 건드리는 한 장의 이미지. 나는 이런 경험 많아. 1년 넘게 매출을 책임지는 이미지 하나. 한 번 성과가 난 이미지는 그냥 이미지가 아니라 쇼핑몰의 비공식
요즘 계속 생각나는 말이 있어. “낯선 사람의 고통에 기꺼이 함께 하려는 사람은 진정 대단한 사람이다.” 헨리 나우웬의 회고록에 나온 말인데, 스티븐 롤릭의 동기 강화 면담 4판도 이 말로 시작하더라. 참 좋지 않아? 뭔가 딱 와닿았어. 사실 나도 예전에는 “도와주고 싶다”는 마음이 진짜 별로 없었던 사람 같아. 그냥… 문제 해결이
너드보드는 '데자일 클럽'이라는 디스코드를 운영하고 있어. 데이터 + 애자일의 조합, 데자일. 왜냐면 결국 협업이 잘 되려면, **팩트(데이터)**랑 **태도(애자일)**가 제대로 맞물려야 하거든. 애자일이라는 말을 들으면 보통 "빠르게 개발하고 피드백 자주 받는 방식이지?" 이렇게 말하잖아? 근데 그게 전부가 아니야. 애자일은 방식이 아니라, 살아가는 자세야.
A+SC 캠페인, 처음엔 솔직히 좀 무섭더라. “이게 잘 돌아갈까?”, “기존 방식이랑 뭐가 다른 거지?”, “진짜 머신러닝이 뭔가 해줄까?” 내 머릿속은 물음표 투성이였어. 근데 주변에서 그러더라, "야 그거 메타에서 100억 넘는 계정들한테 따로 추천하는 전략이래." 그 말 듣고 나도 본격적으로 파기 시작했지. [1] 기존 방식 vs ASC? 처음엔
처음에 ASC 캠페인 시작했을 땐 솔직히 좀 막막했어. 메타에서 자꾸 “머신러닝이 알아서 다 해줄게요~” 하는데 진짜 믿고 맡겨도 되나 싶더라고. 기존 전환 광고는 손에 익었으니까 안정감은 있었지. 근데 한참 돌리다 보니까 “얘가 놓치는 타겟이 진짜 많구나” 싶더라. 그래서 ASC를 병행해봤어. 처음엔 ROAS가 좀 낮게 나오기도 했는데, 돌이켜보면 내가 실수한 게
나도 그랬어. 매출 떨어질 때마다 문자 한 통이라도 돌려보려고 하는데 내가 원하는 타겟을 고를 수가 없으니 그냥 전체 발송. 그마저도 매번 CSV 파일 손으로 만들어서 올리고, 문구 붙여넣고, 실수하면 다시 처음부터... 이게 무슨 CRM이야. 그냥 스트레스지. 그때 생각했어. "아, 내가 원하는 고객만 쏙 뽑아서 문자 보내는 기능, 왜 아무도
한 명의 주니어 마케터가 있었어. 출근하면 가장 먼저 여는 건 스프레드시트. 어제 성과 데이터를 긁어와 붙이고, 캠페인별로 나눠 정리하고, 수식 틀렸을까 두 번 세 번 다시 확인하고... 그렇게 만든 보고서는 결국 "이거 왜 이렇게 나왔지?"라는 사수의 한마디로 끝났대. 그 애는 생각했어. "나, 지금 뭘 배우고 있는
너드보드 이야기: 데이터를 자동화하고, 사람을 창작에 몰입시키기까지 우리는 처음, 데이터 앞에서 무력했습니다. 무수한 메타 광고 리포트와 커뮤니티 게시글을 복사하고, 구글시트에 하나하나 붙여 넣는 단순하지만 고된 반복 작업 속에서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다는 걸 직감했습니다. 그건 바로, "사람의 에너지와 상상력" 이었습니다. 우리의 시간은 표를 정리하는 데 소모되고, 머릿속은 창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