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rdLab이 일하는 방식

NerdLab이 일하는 방식

너드랩 이야기

우리가 너드랩이라는 이름을 지었을 때,
사람들이 묻더라고. 왜 ‘너드’냐고.

근데 말이야, 비행기를 처음 띄운 것도 전문가가 아니라
자전거 고치던 형제들이었잖아. 라이트 형제.
그 사람들처럼 우리도
“이거 될 것 같아. 안 되면? 다시 해보지 뭐.”
그 마음으로 시작한 거야.

실패? 당연히 하지.
근데 우린 실패를 좀 좋아해.
실패하다 보면, 어쩌다 날아가는 날이 오더라고.


우린 항상 실험 중이야

CRM 자동화, 메시지 세분화, AI 분석…
이거 다 실험처럼 시작했어.
한 번에 잘된 것도, 하나도 없고.

그 대신 매번 뭔가를 배웠어.
그래서 우리 팀 철학은 딱 이거야:
“실패해도 된다. 겁내지 말자.”

실패가 쌓이면 길이 보이고,
그게 진짜 혁신이 되는 거야.
월말마다 하는 회고도 그런 버퍼야.
한 템포 쉬면서 우리가 뭘 배웠는지 돌아보는 거지.


우린 진짜 럭비팀처럼 일해

스크럼, 데일리 회의, 스프린트 이런 거 다 하긴 하는데
형식에 갇히진 않아.

필요하면 짝꿍 맺고 같이 파고,
누가 막혀 있으면 작업 등대 세워서 같이 해결하고.
서로 밀어주고 끌어주는 구조지.

우리끼리는 **“살아있는 규칙”**이라고 해.
상황 따라 바뀌는, 근데 다 같이 합의한 약속들.
그게 진짜 우리만의 문화야.


프로세스? 흐름은 있지만 유연해

우리 작업 흐름은 이렇게 흘러가:

  • PRD 쓰고
  • 유저스토리/플로우 설계하고
  • 피그마로 디자인 만들고
  • 클로드 코드랑 같이 개발하고
  • 인터뷰하면서 피드백 받고
  • 마지막엔 회고로 마무리

가끔은 기능 우선순위를 임팩트 맵으로 정하고,
개발팀이 스스로 결정할 수 있게 해.

누가 시켜서 하는 게 아니라
“내가 만든다”는 감각이 중요하거든.
그래야 몰입하니까.


회고는 우리 루틴이야

한 달에 한 번, 월말엔 꼭 회고해.

  • 타임라인 회고로 한 달 돌아보고
  • ERRC 우선순위 다시 정리하고
  • 그리고 제일 재밌는 건, 동료 피드백 회고야.

누구한테 “고마웠어요”, “이거 배웠어요”
이런 얘기 써주는 롤링페이퍼, 진짜 찐 감동이야.
그런 순간들이 쌓여서
우리가 서로한테 성장의 자극이 돼.


애자일은 그냥 일하는 태도야

옛날엔 나도 그로스해킹 좋아했어.
근데 지금은 생각이 바뀌었어.
지속가능한 성장은, 결국 사람에서 나와.

우린 AC2 과정에서 배운
**EOA(애자일의 본질)**을 매일 데일리에서 쓰고 있어.
결국 핵심은 이거야:

“오늘 우리 뭐 이룰 거야?”
“지금 뭐가 제일 막히지?”
“서로 어떤 도움 줄 수 있을까?”

그냥 그 질문 하나하나에서
팀이 스스로 성장하는 거지.


우린 아직도 스포티파이 모델 좋아해

스포티파이처럼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스쿼드 팀들,
칸반으로 일하고, 벽에 화이트보드 붙이고,
그런 분위기 아직도 좋아해.

실제로 스포티파이 내부에선 지금 안 쓴다고 해도
그걸 가능하게 했던 철학 자체는 살아있다고 생각해.

우린 지금도
경험하면서 배우고, 실험하면서 성장하는 팀이 되고 싶어.
그게 너드랩이야.


마지막으로 한 마디

요즘 팀 코칭 관련해서 문의가 꽤 와.
스타트업을 직접 하고 있어서 그런지
다른 팀들 고민도 너무 익숙해.

그래서 너드랩이 어떻게 일하는지
하나하나 공유해보고 싶었어.

이 글이 누군가에겐
방향이 되거나,
실험할 용기를 줄 수 있으면 좋겠어.

우린 아직도 날개를 펼치는 중이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아.
너드랩이니까.



너드보드 오픈카톡방에서 다른 분들과 함께 성장하실 수 있어요! 실시간 질문답변도 되고, 제가 직접 피드백도 드리고 있습니다 ㅎㅎ
카톡방 참여하기: https://open.kakao.com/o/gJmJ6rQh

Read more

월 3억짜리 메타 광고계정을 다뤄보면서 생긴 이슈들..

월 3억짜리 메타 광고계정을 다뤄보면서 생긴 이슈들..

와, 정말 오랜만이었어. 월 3억짜리 광고계정을 다시 만지게 될 줄이야. 처음엔 막막했지. 당장 광고비를 태울 계정이 필요한데 계정은 죄다 비활성화 되어 있고... 그때 알게 된 거야. 광고계정도 사고팔 수 있다는 걸. 근데 여기서 꿀팁이 있어. 다른 비즈니스 관리자로 계정을 사서 파트너로 조인시키면, 설령 그 계정이 비활성 걸려도 내 본계정은 멀쩡하더라고.

By shane
사장님이 직접 만든 컨텐츠가 팔리지 않는 이유

사장님이 직접 만든 컨텐츠가 팔리지 않는 이유

요즘 메타 광고 성과가 예전 같지 않다고들 해. 그럴 수밖에 없지. 다들 같은 방식으로만 돌리니까.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콘텐츠"야. 그중에서도, 고객의 마음을 건드리는 한 장의 이미지. 나는 이런 경험 많아. 1년 넘게 매출을 책임지는 이미지 하나. 한 번 성과가 난 이미지는 그냥 이미지가 아니라 쇼핑몰의 비공식

By shane
CRM에 필요한 동기면담의 본질

CRM에 필요한 동기면담의 본질

요즘 계속 생각나는 말이 있어. “낯선 사람의 고통에 기꺼이 함께 하려는 사람은 진정 대단한 사람이다.” 헨리 나우웬의 회고록에 나온 말인데, 스티븐 롤릭의 동기 강화 면담 4판도 이 말로 시작하더라. 참 좋지 않아? 뭔가 딱 와닿았어. 사실 나도 예전에는 “도와주고 싶다”는 마음이 진짜 별로 없었던 사람 같아. 그냥… 문제 해결이

By sha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