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광고하면서 내가 했던 질문

메타광고하면서 내가 했던 질문

처음에 ASC 캠페인 시작했을 땐 솔직히 좀 막막했어.
메타에서 자꾸 “머신러닝이 알아서 다 해줄게요~” 하는데
진짜 믿고 맡겨도 되나 싶더라고.

기존 전환 광고는 손에 익었으니까 안정감은 있었지.
근데 한참 돌리다 보니까
“얘가 놓치는 타겟이 진짜 많구나” 싶더라.

그래서 ASC를 병행해봤어.
처음엔 ROAS가 좀 낮게 나오기도 했는데,
돌이켜보면 내가 실수한 게 있었지.

ASC는 똑똑하긴 한데,
BAU(기존 전환 광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움직이는 거야.
근데 내가 예산을 ASC 쪽에 너무 몰아줬더니
학습도 덜 된 상태에서 무리하게 뛰어들게 된 거지.
그땐 몰랐는데, 나중에 알았어.
“50:50 비율 넘기지 말라”는 이유가 거기에 있었던 거야.

또 하나,
기존 고객 예산 한도. 이건 마케터마다 고민 많잖아?
나는 아예 0으로 두고, 신규 고객만 보라고 했어.
그랬더니 진짜로 새로운 고객들이 많이 유입되더라고.
물론 머신러닝한테 전부 맡긴다는 건 약간의 불안도 있지만,
얘가 학습만 잘 하면 진짜 똑똑해.

결론은 뭐냐면,
ASC는 마법은 아니야.
기존 전환광고와 같이 돌려야 진가가 나와.
소재도 풍부하게 넣어줘야 하고.
기존 고객 타겟팅을 줄이면 ASC는 더 넓게 탐색하니까
신규 고객 확보에도 도움이 되고.

지금도 돌리고 있지만,
한 가지 확실한 건 있어.
이건 감이 아니라, 데이터를 쌓아가면서
‘믿고 맡기면 일하는 머신’이란 거.

마케터가 머신을 가르치는 시대라 그런가봐.

요즘엔 일반 전환광고가 성과가 좋아. 2025년 메타 광고비법이라고 막 광고하는 업체들 믿고 걸러라. 사실 펀더멘털한 것은 정해져 있거든. 2025년 최고의 비법은 제일 많이 셋팅해 본 경험 많은 사람이야. 요즘엔 ASC가 성과가 별로 안좋아(경험상). 일반 전환광고에 비결이 있거든. 메타 매니저도 조만간 ASC가 없어진다 하더라..

경기침체에도 될 놈은 된다. 핑계대지말고 컨텐츠를 다양하게 테스트해봐. 근거기반으로 말이야.

Read more

NerdLab이 일하는 방식

NerdLab이 일하는 방식

너드랩 이야기 우리가 너드랩이라는 이름을 지었을 때, 사람들이 묻더라고. 왜 ‘너드’냐고. 근데 말이야, 비행기를 처음 띄운 것도 전문가가 아니라 자전거 고치던 형제들이었잖아. 라이트 형제. 그 사람들처럼 우리도 “이거 될 것 같아. 안 되면? 다시 해보지 뭐.” 그 마음으로 시작한 거야. 실패? 당연히 하지. 근데 우린 실패를 좀 좋아해. 실패하다

By shane
사장님이 직접 만든 컨텐츠가 팔리지 않는 이유

사장님이 직접 만든 컨텐츠가 팔리지 않는 이유

요즘 메타 광고 성과가 예전 같지 않다고들 해. 그럴 수밖에 없지. 다들 같은 방식으로만 돌리니까.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콘텐츠"야. 그중에서도, 고객의 마음을 건드리는 한 장의 이미지. 나는 이런 경험 많아. 1년 넘게 매출을 책임지는 이미지 하나. 한 번 성과가 난 이미지는 그냥 이미지가 아니라 쇼핑몰의 비공식

By shane
CRM에 필요한 동기면담의 본질

CRM에 필요한 동기면담의 본질

요즘 계속 생각나는 말이 있어. “낯선 사람의 고통에 기꺼이 함께 하려는 사람은 진정 대단한 사람이다.” 헨리 나우웬의 회고록에 나온 말인데, 스티븐 롤릭의 동기 강화 면담 4판도 이 말로 시작하더라. 참 좋지 않아? 뭔가 딱 와닿았어. 사실 나도 예전에는 “도와주고 싶다”는 마음이 진짜 별로 없었던 사람 같아. 그냥… 문제 해결이

By shane
통찰은 어디서 올까?

통찰은 어디서 올까?

너드보드는 '데자일 클럽'이라는 디스코드를 운영하고 있어. 데이터 + 애자일의 조합, 데자일. 왜냐면 결국 협업이 잘 되려면, **팩트(데이터)**랑 **태도(애자일)**가 제대로 맞물려야 하거든. 애자일이라는 말을 들으면 보통 "빠르게 개발하고 피드백 자주 받는 방식이지?" 이렇게 말하잖아? 근데 그게 전부가 아니야. 애자일은 방식이 아니라, 살아가는 자세야.

By sha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