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M에 필요한 동기면담의 본질

CRM에 필요한 동기면담의 본질

요즘 계속 생각나는 말이 있어.
“낯선 사람의 고통에 기꺼이 함께 하려는 사람은 진정 대단한 사람이다.”
헨리 나우웬의 회고록에 나온 말인데,
스티븐 롤릭의 동기 강화 면담 4판도 이 말로 시작하더라.

참 좋지 않아?
뭔가 딱 와닿았어.
사실 나도 예전에는 “도와주고 싶다”는 마음이 진짜 별로 없었던 사람 같아.
그냥… 문제 해결이 먼저였고, 말보다 로직이 앞섰달까.

근데 지난 2년 동안 좀 바뀌었어.
공감이 먼저고, 기술은 그 다음이라는 걸 진짜 깨달았거든.


**동기 강화 면담(MI)**이라는 걸 코칭에서 본격적으로 공부하게 됐어.
간단히 말하면,
사람이 스스로 변화하려는 동기를 발견할 수 있도록
같이 걸어주는 대화 방식이야.

말이 멋있지?
근데 이게 진짜 어려워.

MI에서 중요한 건 피코치(상대방)의 가치와 목표를 같이 탐색하면서
지금 하고 있는 행동이랑 얼마나 불일치하는지를 같이 보는 거야.
그 간극을 같이 바라보는 거지.
“너 잘못됐어”가 아니라,
“우리 같이 한번 볼래?”라는 말투로.


예전에 어떤 도반님이 이런 얘길 했어.
“공감은 상상 속에서 이입되는 게 아니고,
그저 옆에 있는 거야.”

그 말 듣고 한 대 맞은 기분이었어.
난 공감이라는 걸 자꾸 ‘분석’하려 했거든.
근데 그냥 같이 있어주는 것, 그 자체가 공감이더라고.

그 사람이 말하는 걸 그냥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열리고, 자기 이야기를 하기 시작해.
그 순간, 스스로 답을 찾기 시작하더라.
그게 변화의 시작이야.


MI에는 OARS라는 네 가지 기본이 있어.

  • 열린 질문
  • 인정하기
  • 반영하기
  • 요약하기

이 네 가지를 자연스럽게 섞으면
진짜 따뜻한 대화가 가능해져.
그리고 한 가지 더 중요한 건,
질문은 올리고, 반영은 낮춘다.
질문만 계속하면 취조당하는 느낌 들거든.


동기면담을 가르쳐주신 코치님이 그러더라.
사람들이 '관계 맺기'에 진심이 아니래.
그 얘기 듣고 나도 머리 한 대 맞은 것 같았어.
나 스스로도 “나는 정말 이 사람이랑 같이 걷고 있었나?” 돌아보게 됐거든.

MI의 4단계는 이렇게 이어져:

  1. 같이 걸을래요? (관계맺기)
  2. 어디로 걸을까요? (초점 맞추기)
  3. 왜 걸으려 하나요? (유발하기)
  4. 그럼 언제, 어떻게 걸을까요? (계획하기)

이 흐름을 알고 나니,
코칭이라는 게 무언가를 가르치는 게 아니라,
같이 옆에서 걸어주는 것
이라는 게 진짜 실감났어.

멘토님이 말했던 “도움 주기가 통찰을 만들고,
그 안에 멀티버스가 열린다
”는 얘기도 그때부터 이해됐어.
함께 있어주는 관계 속에서,
상대방도 나도 상상 못 했던 방향으로 확장이 일어나는 거야.


그래서 요즘은
코칭 질문만 던지는 걸 경계하려고 해.
우리의 일상 대화 속에서도,
점심시간에 동료랑 이야기 나눌 때도
MI가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다면
그게 진짜 대화고, 진짜 유대
라는 생각이 들어.


나한테 동기 강화 면담이란,
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가치의 언어를 발견하도록 돕고,
그걸 가지고 스스로 다시 걸을 수 있게 하는 조용한 동행이야.

내가 성장하고 있다는 말 들었을 때,
그건 아마 기술 때문이 아니라
공감하려고 했던 내 작은 노력 덕분이었던 것 같아.


지금 누군가와 함께 걸어줄 준비가 되어 있어?
기술은 그 다음 문제야.
일단 옆에 있어줘.
그게 진짜 시작이야.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5817518
공부하고 싶은 분은 참고해.

Read more

월 3억짜리 메타 광고계정을 다뤄보면서 생긴 이슈들..

월 3억짜리 메타 광고계정을 다뤄보면서 생긴 이슈들..

와, 정말 오랜만이었어. 월 3억짜리 광고계정을 다시 만지게 될 줄이야. 처음엔 막막했지. 당장 광고비를 태울 계정이 필요한데 계정은 죄다 비활성화 되어 있고... 그때 알게 된 거야. 광고계정도 사고팔 수 있다는 걸. 근데 여기서 꿀팁이 있어. 다른 비즈니스 관리자로 계정을 사서 파트너로 조인시키면, 설령 그 계정이 비활성 걸려도 내 본계정은 멀쩡하더라고.

By shane
NerdLab이 일하는 방식

NerdLab이 일하는 방식

너드랩 이야기 우리가 너드랩이라는 이름을 지었을 때, 사람들이 묻더라고. 왜 ‘너드’냐고. 근데 말이야, 비행기를 처음 띄운 것도 전문가가 아니라 자전거 고치던 형제들이었잖아. 라이트 형제. 그 사람들처럼 우리도 “이거 될 것 같아. 안 되면? 다시 해보지 뭐.” 그 마음으로 시작한 거야. 실패? 당연히 하지. 근데 우린 실패를 좀 좋아해. 실패하다

By shane
사장님이 직접 만든 컨텐츠가 팔리지 않는 이유

사장님이 직접 만든 컨텐츠가 팔리지 않는 이유

요즘 메타 광고 성과가 예전 같지 않다고들 해. 그럴 수밖에 없지. 다들 같은 방식으로만 돌리니까.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콘텐츠"야. 그중에서도, 고객의 마음을 건드리는 한 장의 이미지. 나는 이런 경험 많아. 1년 넘게 매출을 책임지는 이미지 하나. 한 번 성과가 난 이미지는 그냥 이미지가 아니라 쇼핑몰의 비공식

By sha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