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한 장에 반나절 걸리던 그 애, 지금은...

보고서 한 장에 반나절 걸리던 그 애, 지금은...

한 명의 주니어 마케터가 있었어.
출근하면 가장 먼저 여는 건 스프레드시트.
어제 성과 데이터를 긁어와 붙이고,
캠페인별로 나눠 정리하고,
수식 틀렸을까 두 번 세 번 다시 확인하고...

그렇게 만든 보고서는
결국 "이거 왜 이렇게 나왔지?"라는
사수의 한마디로 끝났대.


그 애는 생각했어.
"나, 지금 뭘 배우고 있는 걸까?"
"이게 진짜 마케팅일까?"

데이터는 많은데
인사이트는 없고,
시간은 쏟았는데
성장은 없었지.


그런데 지금, 그 애는 달라졌어.
이젠 매체별 데이터를 직접 정리하지 않아도 돼.
너드보드 매체별 대시보드가 있으니까.


무엇이 달라졌냐고?

스프레드시트? 이제 안 켜.
자동으로 수집된 매체 데이터가
정리된 상태로 대시보드에 딱.

전수 데이터? 분석까지 자동으로.
파이썬 기반 분석 스크립트로
복잡한 데이터도 알아서 구조화돼.

궁금한 리포트? 기다릴 필요 없어.
실시간으로, 클릭 한 번이면
지금 바로 눈앞에서 확인 가능해.

사수가 없어도 괜찮아.
전용 디스코드 채널이
맞춤형 리포트를 알려주니까.


이제 그는
데이터를 정리하지 않아.
데이터를 읽고, 결정하고, 제안해.

그는 더 이상 ‘주니어’가 아니야.
‘데이터를 기반으로 움직이는 마케터’가 됐지.


지금, 너드보드의 새로운 대시보드가 베타 오픈했어.

귀찮았던 루틴을 덜고,
더 크리에이티브하게 일할 준비,
지금 바로 시작해.

Read more

NerdLab이 일하는 방식

NerdLab이 일하는 방식

너드랩 이야기 우리가 너드랩이라는 이름을 지었을 때, 사람들이 묻더라고. 왜 ‘너드’냐고. 근데 말이야, 비행기를 처음 띄운 것도 전문가가 아니라 자전거 고치던 형제들이었잖아. 라이트 형제. 그 사람들처럼 우리도 “이거 될 것 같아. 안 되면? 다시 해보지 뭐.” 그 마음으로 시작한 거야. 실패? 당연히 하지. 근데 우린 실패를 좀 좋아해. 실패하다

By shane
사장님이 직접 만든 컨텐츠가 팔리지 않는 이유

사장님이 직접 만든 컨텐츠가 팔리지 않는 이유

요즘 메타 광고 성과가 예전 같지 않다고들 해. 그럴 수밖에 없지. 다들 같은 방식으로만 돌리니까.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콘텐츠"야. 그중에서도, 고객의 마음을 건드리는 한 장의 이미지. 나는 이런 경험 많아. 1년 넘게 매출을 책임지는 이미지 하나. 한 번 성과가 난 이미지는 그냥 이미지가 아니라 쇼핑몰의 비공식

By shane
CRM에 필요한 동기면담의 본질

CRM에 필요한 동기면담의 본질

요즘 계속 생각나는 말이 있어. “낯선 사람의 고통에 기꺼이 함께 하려는 사람은 진정 대단한 사람이다.” 헨리 나우웬의 회고록에 나온 말인데, 스티븐 롤릭의 동기 강화 면담 4판도 이 말로 시작하더라. 참 좋지 않아? 뭔가 딱 와닿았어. 사실 나도 예전에는 “도와주고 싶다”는 마음이 진짜 별로 없었던 사람 같아. 그냥… 문제 해결이

By shane
통찰은 어디서 올까?

통찰은 어디서 올까?

너드보드는 '데자일 클럽'이라는 디스코드를 운영하고 있어. 데이터 + 애자일의 조합, 데자일. 왜냐면 결국 협업이 잘 되려면, **팩트(데이터)**랑 **태도(애자일)**가 제대로 맞물려야 하거든. 애자일이라는 말을 들으면 보통 "빠르게 개발하고 피드백 자주 받는 방식이지?" 이렇게 말하잖아? 근데 그게 전부가 아니야. 애자일은 방식이 아니라, 살아가는 자세야.

By shane